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데이터공부
- 서비스기획
- 스나이퍼팩토리
- uxui인턴형프로그램4기
- 웅진씽크빅
- 당근분석
- 큐레이팅앱
- UXUI디자이너
- 당근uiux
- 당근마켓붕어빵
- uxui분석
- 서비스기획공부
- 맛집추천서비스
- 유데미
- uiux인턴형프로그램
- 앱ui/ux분석
- uiux리뷰
- 인사이드아웃
- uiux스터디
- 데이터분석
- 서비스기획자
- 당근마켓uiux
- UIUX디자이너
- uxui리뷰
- uxui인턴형프로그램
- UXUI디자인
- uiux디자인
- uiux인턴형프로그램4기
- 디자이너인턴
- 디자이너교육
- Today
- Total
목록ux.zip/article (6)
neesoo.zip
디지털 전환은 스마트폰과 다양한 앱이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게 만들었다. 하지만 모두가 이런 변화를 쉽게 받아들이는 건 아니며, 특히 어르신들은 이런 변화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자주 겪게 된다. 노인들이 나이가 들어서, 단순히 신체에 노화가 와서 디지털 기기를 어려워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멘탈모델'에 있다. 아래 아티클을 읽게 되면서 '멘탈모델'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다. 멘탈모델은 사람이 시스템이나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할 때, 어떤 기대를 가지는지, 그리고 그 기대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설명해 준다. 예를 들어, 어르신들께서 스마트폰 터치스크린보다 물리적인 버튼에 더 익숙함을 느끼는 경우가 멘탈모델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18화 고령 UX..
평소 습관적으로 당근에 들어가는 편이다. 필요한 게 있어서는 아니고 동네 사람들이 어떤 물건을 팔고 있는지 보기도 하고, 가끔 커뮤니티에 들어가서 귀여운 게시글들을 구경하곤 한다. 특히 반려묘를 키우고 있어서 고양이 관련 물품이 저렴하게 올라오면 유심히 보기도 한다. 며칠 전 홈 화면에서 '고양이' 키워드 알림을 설정하고 싶었는데, '고양이'를 내가 직접 검색하지 않는 이상 알림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보이지 않았다. 자세히 살펴보니 우측 상단 알림 아이콘에 일반 알림과 키워드 알림이 같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당연히 일반적인 거래 관련, 커뮤니티 관련 알림인 줄 알았는데 키워드 알림을 확인하고 설정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바로 어제 당근 관련 아티클을 접하게 되었다...
며칠동안 아티클 읽기를 회피했더니 시간이 많이 흘러 있었다😅 다시 열심히 해보자고! 1. 여기어때 디자이너가 '실패'에서 배운 것 여기어때 디자이너가 ‘실패’에서 배운 것 | 요즘IT올 상반기에 제게 주어진 가장 큰 프로젝트는 ‘검색 탐색 경험 개선’이었습니다. 장장 6개월 동안 국내와 해외 검색을 통합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개선한 통yozm.wishket.com ✏️요약여기어때 팀에서 진행한 '검색 탐색 경험 개선' 프로젝트는 6개월 동안 국내와 해외 검색을 통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나, 실험 4일만에 실패를 경험하였다. 검색 개편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는 해외 서비스 오픈을 위해서였으며, 사용자들은 국내/해외 구분 없이 일관된 검색 경험이라는 니즈를 가지고 있었다...
1. 클릭하고 싶은 UX 라이팅 설계 뉴닷스타트업 미디어의 새로운 경험newdot.it✏️요약클릭하고 싶은 글은 다음과 같은 원칙이 숨겨져 있다. '사용자는 특정 행동으로의 요구나 충고에 거부감을 가진다', 'SNS 연결, 클릭, 스크롤 등 불필요한 권유를 받았을 때 인지과부하가 발생한다', '직관적으로 사용자 입장에서 혜택으로만 소통하자', '혜택에 대해 두괄식 구성을 지향하자'. 그 외 좋은 제품이라고 느껴지는 글에는 착시(확 꽂혀 기억에 남는 표현, 언어적 프레임, 심리적 보상 설계)가 숨겨져 있기도 한다. UX라이팅의 본질은 결국 사람을 설득하는 일. 💭느낀 점클릭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론과 심리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한 방법들을 알아보았다. 사용자가 불편하거나 불쾌감이 들지 않도록 섬세한 ..
* 글은 못쓰지만 나의 성장과정을 차곡차곡 쌓기 위해... 1. '초개인화'를 중소기업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까?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62402102369073001 www.dt.co.kr✏️요약스타벅스, 넷플릭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고객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초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전략은 고객 데이터가 없거나 미비한 대다수 중소기업에게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현실이다. 그렇다면 고객 데이터가 없는 중소기업에서의 대안은 '양이 아닌, 질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객이 왜 구매하려 하는지, 어떻게 구매했는지, 구매 후 행동과 감정은 어땠는지를 고객의 라이플사이클 차원에서 해석하..
* 글은 못쓰지만 나의 성장과정을 차곡차곡 쌓기 위해... 1. 알리, 테무의 UX 라이팅 알리와 테무의 거친 언어와[이커머스 1] 불안한 현지화와 그걸 지켜보는 나 | 저 사실 이커머스 잘 몰라요. 그쪽은 좀 무섭더라고요. 알리와 테무가 한국, 아니 전 세계 이커머스 판을 잡아먹을 것 같다는 무시무시한 언론brunch.co.kr 💭 느낀 점 1) A/B 테스트에 얽매이지 않는 것 : 이제 공부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참고하다 보면 A/B 테스트 장표가 자주 보여서 당연히 거쳐야 하는 과정인 줄 알았다! 'UI 텍스트 리서치 결과 해석을 할 때에는 What(데이터)과 Why(그 이유)를,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상쇄할 수도 있는 제품 맥락에 대해 총체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라는 ..